PRACTICE CASE

최고의 서비스로 출원부터 기술사업화까지 고객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업무사례

상표등록비용, 얼마가 필요한지 궁금하시죠?

  • 날짜 2024.09.11
  • 조회수 1,123

상표등록비용, 얼마가 필요한지 궁금하시죠?



결과로 보여드리는 "특허법률사무소 엘프스"입니다.

 
상표를 등록하시려고 한다면 비용과 관련한 부분에 대한 고민, 항상 생각하셨을겁니다.


어떤 곳에 의뢰해보니 30만원이면 충분하다고 하고, 어느곳은 40만원, 어느곳은 80만원 정말 다양한 비용을 제시할텐데요.



왜 이렇게 다양한 비용을 제시하는지 궁금하신 분들도 계실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상표등록비용 정확히 얼마가 필요한지에 대한 내용과 함께 비용이 다른 이유에 대한 내용을 설명드리려 합니다.


지식재산권 출원등록과 관련하여 당소에서는 5인의 변리사가 여러분과 1:1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당소의 도움을 받아 상표출원등록을 진행하시려는 분들이라면 아래의 글을 참고하셔서 도움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상담에 있어 발생하는 비용은 없으니 편하게 문의 남겨주세요.

<목차>

  1. 특허법률사무소 엘프스의 상표등록비용
  2. 비용이 다른 이유
  3. 평균 비용은?


1. 특허법률사무소 엘프스의 상표등록비용


상표등록비용은 출원과 등록 시 각각 청구하고 있으며 특허청에 납부하는 것과 대리인과 함께 진행하셨을 시로 구분됩니다.


일반적으로 대리인 수수료는 15~20만원정도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출원과 등록 모두 합쳐서 30~40만원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여기에 특허청관납료는 1개 분류, 10개의 지정상품을 기준으로 출원할 때에는 46,000원(고시상품)~52,000원(비고시상품)이며, 등록할 때에는 210,120원(10년 기준)입니다.


그래서 당소에서는 모든 비용을 합쳐서 60~70만원정도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2. 비용이 다른 이유


가장 기본적으로 비용이 다른 이유는 특허청관납료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입니다.


가장 큰 비용의 차이를 발생하는 것이 바로 등록비용인데요.


처음 등록결정서가 나왔을 때 비용을 납부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10년 기준으로 납부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저렴한 업체의 경우에는 이를 분할납부로 하여 5년씩 2번 납부한다는 명목으로 5년분의 등록료를 제시​하죠.


이는 상당한 위험을 수반하는데요,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의 경우에도 분할납부를 하다 상표관리가 어려워 상표권을 상실하게 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210,120원을 122,000원으로 5년씩 두번 납부하게 되면 해당 기일을 챙겨야 할 뿐만 아니라 기일을 놓치게 될 경우 상표권이 소멸될 위험이 있으므로 되도록이면 10년치를 한번에 청구하는 곳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향이라 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중간사건 발생을 유도하는 곳들도 있는데요.


중간사건 해결을 위해 비용을 따로 청구하는 곳들도 있으므로 되도록이면 저희가 제시드린 평균적인 비용을 제시하는 곳에 의뢰하시는 것을 권장드리고 있습니다.


3. 평균 비용은?


특허사무소마다 정해놓은 수가정책에 따라 상표등록비용은 조금씩 다릅니다.


그렇지만 저희가 제시드린 비용은 평균적인 비용으로 이보다 너무 저렴한 경우에는 일반직원이 업무를 처리하는 사례가 많아 그리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물론, 변리사가 업무를 모두 처리하는 곳도 있지만 저렴한 비용으로 인해 변리사가 아닌 일반직원이 업무를 대리하는 곳들이 많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험부담을 갖고 저렴한 업체를 선택하셔도 좋지만 한번 더 고민해보시고 특허사무소 선택에 고민을 해보심을 권장드리고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오늘은 상표등록비용에 대한 내용을 설명드렸습니다.


비용에 따라 받는 서비스가 다른 것은 아니지만, 합리적인 비용을 제시하는 곳에 의뢰하셔서 도움을 받아보시기 바라며 오늘 이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NS Share 페이스북 공유하기트위터 공유하기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네이버 공유하기